연사소개

Home / 연사소개 / 연사소개

연사소개

Day 1     8.19.(목)

기조연설

기조연사

제프리 삭스

경제학자,
컬럼비아대학교 지구연구소 소장

기조연사

제프리 삭스

경제학자,
컬럼비아대학교 지구연구소 소장

대표적인 국제 경제 자문으로 널리 알려진 제프리 삭스는 경제발전, 빈곤퇴치 및 진보된 세계화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법에 대해 새로운 길을 개척해왔다. 2004년에 이어 2005년에도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 영향력 있는 100인’에 꾸준히 이름을 올렸다. 뉴욕타임즈는 삭스 교수를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경제학자”로 칭하였으며, 프랑스 매거진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는 세계화를 다루는 가장 중요한 세계 리더 50인 중 한명으로 지명하기도 하였다.
삭스 교수는 진보된 지속가능한 글로벌 발전과 공유부에 관한 두 권의 획기적인 저서의 저자이기도 하다. 그 중 “커먼 웰스: 붐비는 지구를 위한 경제학(Common Wealth: Economics for a Crowded Planet)”은 인류의 달성 가능한 목표인 포용적, 협력적이며 환경의식이 고취된 신 경제 패러다임을 수용하지 않는다면 글로벌 경제 붕괴가 우리 눈앞에 펼쳐질 것이라며 경고한다.
뉴욕 타임즈 베스트셀러인 “빈곤의 종말: 우리 시대 경제적 가능성(The End of Poverty: Economic Possibilities for Our Time)”을 통해서는 오늘날 세계적인 경제 성공의 핵심에 대한 영감을 제시하는 큰 그림을 보여준다.
삭스는 지구연구소 소장으로 컬럼비아대학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케틀레 석좌교수(Quetelet Professor)와 보건의료정책 및 관리분야 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반기문 전 UN사무총장 특별 고문으로 활동하기도 했으며, 국제분야에서 다수의 고위급 자문직책을 지내왔다. 이와 더불어 남미, 동유럽, 구 소련연합, 아시아, 아프리카 정부뿐 아니라 다수의 국제 개발 관련 기관에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Close

기조연설 Wrap-up

강금실

강원문화재단 이사장

기조연설 Wrap-up

강금실

강원문화재단 이사장

강금실 이사장은 서울고등법원판사를 거쳐 대한민국 제 55대 법무부장관을 역임하였다.
현재 법무법인(유) 원의 대표변호사이자 ESG 센터 대표를 맡고 있으며, 강원문화재단 이사장, 지구와사람 이사장으로 재임 중이다. 대표 저서로는 '생명의 정치' 등이 있다.

Close

초청강연

강연자

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

강연자

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

최재천은 하버드대에서 에드워드 윌슨 교수의 지도로 진화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고 하버드대 전임강사와 미시건대 조교수,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를 거쳐 현재는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석좌교수로 일하고 있다. 현재 다섯 국제학술지의 편집위원을 맡고 있으며, 2019년 출간된 동물행동학 백과사전(Encyclopedia of Animal Behavior)의 총괄 편집장을 역임했다. 140여편의 논문과 6권의 영문 저서를 출간한 것 외에도 70권 이상의 책을 집필 또는 번역했다. 한국생태학회 회장, 초대 국립생태원 원장, 국제생물다양성협약(CBD) 의장,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명예대사를 역임했고, 현재 생명다양성재단과 국회기후변화포럼 대표를 맡고 있다.

Close

전체세션

좌장

유연철

전 외교부 기후변화대사

좌장

유연철

전 외교부 기후변화대사

Close

연사

오윤 산자수렌

녹색기후기금 대외협력국장

연사

오윤 산자수렌

녹색기후기금 대외협력국장

Oyun Sanjaasuren 박사는 녹색기후기금의 대외협력국장으로서 자원동원, 파트너십, 커뮤니케이션 및 advocacy 관련 업무를 이끌고 있습니다.
Oyun 박사는 유엔환경 이사회인 유엔환경총회의 초대 의장을 역임(2014~2016) 했으며 지속 가능한 개발, 기후변화, 물 안보를 적극적으로 지지해왔습니다. 또한 Global Water Partnership 의장과 Future Earth의 자문 위원을 역임했습니다. 몽골의 주요 정치인 중 한 사람인 Oyun박사는 국회의원(1998-2016), 환경 및 녹색 개발 장관 및 외무 장관을 역임했습니다. Oyun 박사는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고 청소년 리더십과 교육을 지원하는 몽골 NGO인 Zorig Foundation의 설립자이기도 합니다.
Oyun 박사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지구 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Close

연사

박호정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

연사

박호정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

박호정은 현재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로서 자원 경제학과 에너지 경제학 분야에서 주로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와 University of Maryland의 자원경제학과를 졸업하였으며 그동안 주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와 전력시장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현재 한국자원경제학회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정부의 그린뉴딜 및 탄소중립 정책 관련 다양한 정책 자문을 맡고 있다. 최근에는 기후에너지시장연구원의 이사로서 시민활동에도 노력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실물옵션과 투자분석', '탄소전쟁'이 있다.

Close

연사

김한일

한국 맥도날드 전무

연사

김한일

한국 맥도날드 전무

김한일은 현재 한국 맥도날드에 SCM(Supply Chain Management) 전무로 재직 중에 있다. 한국 피엔지 근무를 시작으로 여러 다국적 기업에서 물류 구매 전문가로서 미국, 일본, 싱가포르에서 20여년 걸쳐 근무하였다. 다국적 기업 근무 동안 물류 구매 부서의 글로벌과 아시아 리더 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여 원가절감, 생산성 향상, 인재개발과 육성, 그리고 ESG 분야에 탁월한 업적을 남겼다. 현재 한국 맥도날드에서 진행하고 있는 “작지만 큰 변화” 라는 사회 환경 보호 캠페인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올해 QSR(Quick Service Restaurant) 업계 최초로 음료에 빨대 없는 뚜껑을 도입하여 플라스틱 사용량 절감에 큰 공헌을 하였다. 그 외에도 레스토랑에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일회용품의 재생과 재활용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Close

연사

조시 웨슬러

윤리적 소비자 연구소 연구원, 작가 및 편집자

연사

조시 웨슬러

윤리적 소비자 연구소 연구원, 작가 및 편집자

조시 웨슬러는 영국의 비영리 단체인 윤리적 소비자 연구소의 연구원이자 작가이자 편집자이다. 그녀는 연구소 재직 전 다국적 기업의 탄소 배출량 감소를 지원하는 노르웨이 환경 컨설턴트사에 재직하였으며, 영국 웨일스에 위치한 대안기술센터(Center for Alternative Technology, CAT)에서 영국(탄소제로 2030, Zero Carbon Britain 2030)의 탈탄소 실현 방안에 대한 연구와 모델링 작업을 담당하였다. 그녀는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에서 환경기술을 전공하였다.

Close

연사

마리오 살로모네

세계환경교육총회 네트워크
사무총장

연사

마리오 살로모네

세계환경교육총회 네트워크
사무총장

마리오 살로몬은 WEECs(지속가능성/환경교육 및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교육에 관한 세계 환경 교육 총회(World Environmental Education Congresses). 제 11차 WEEC는 2022년 체코 프라하에서 개최될 예정이다.)의 세계 네트워크를 조직하는 사무총장직을 맡고 있다. 철학을 전공한 살로모네 사무총장은 사회학자이자, 대학교수, 언론인, 소설 작가, 컨퍼런스 강연자 및 과학저널인 지속가능성 문화(Culture of Sustainability)의 편집자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토리노대학교에서 농식품 네트워크의 사회환경 지속가능성 대학원 과정에서 환경 사회학 강의를 맡고 있다. 베르가모대학에서 지역 발전을 위한 환경교육, 환경사회학 및 관광학을 가르친 바 있으며, 밀라노 IULM대학에서는 정치 커뮤니케이션 강의를 하기도 하였다. 이탈리아 토리노대학 내 지속가능 개발 및 영토관리에 관한 유네스코 및 이탈리아 로마클럽 의장직을 맡고 있기도 하다. 환경 미디어 이탈리아 연합 창립자 및 전회장이자 IECA(국제환경커뮤니케이션협회) 공동창립자로 활동하며 협회 및 단체의 환경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Close

연사

앤드루 새먼

아시아 타임스 한국특파원

연사

앤드루 새먼

아시아 타임스 한국특파원

앤드루 새몬은 영국인으로 1998년부터 대한민국 서울에 거주하고 있으며 홍콩에 본사를 둔 미디어 기업 아시아 타임즈의 동북 아시아 특파원으로 일하고 있다. 최근에는CNN, 포브스, 프랑스 24,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 뉴 리퍼블릭,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타임즈 및 워싱턴 타임즈에 기사를 쓰고 있다. 또한, ‘현대 한국: 중요한 것(Modern Korea: All That Matters, 런던/뉴욕 2014)’을 비롯해 ‘마지막 전투까지 한국 전쟁 역사(Korean War histories To the Last Round, 런던, 2009)’ ‘불타는 지구, 검은 눈(Scorched Earth, Black Snow, 런던, 2011)’등 5권의 책을 쓰기도 했다. 2010년에는 전쟁 문학에 대한 기여로 국회가 수여하는 “한류”상을 수상했다. 2016년에는, 한국 전쟁에서 영국의 역할에 대한 글로 엘리자베스 여왕 2세가 수여하는 대영 제국 훈장을 받기도 했다. 건지섬의 엘리자베스 대학에서 수학했으며, 켄트 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런던 대학 동양 및 아프리카학부(SOAS)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또한, 왕립 아세아학회 한국 지부 위원으로 일하고 있으며, 역사, 무술 및 맥주에 조예가 깊다.

Close

Day 2     8.20.(금)

토크콘서트

연사

송호섭

스타벅스 코리아
대표이사

연사

송호섭

스타벅스 코리아
대표이사

송호섭 대표이사는 나이키, 로레알, 언더아머 등 소비재 분야에서 20년간 경력을 쌓은 글로벌 전문가로 2018년 10월 스타벅스 코리아에 운영담당으로 조인한 후, 2019년 3월 스타벅스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스타벅스 대표이사 부임 1년만에 매출 1조 8696억원, 영업이익 1,751억원을 달성해 전년대비 22.8%와 22.5%의 신장율을 기록하며 최고 실적을 견인했으며 매출 2조 돌파를 앞두고 있다.
취임 이후, 세계 최초의 모바일 오더 및 결제시스템인 사이렌 오더를 비회원 대상으로 확대 런칭하고, 드라이브 스루 존 주문 반경 6km 확대, MSR 회원 700만 돌파, 사이렌 오더 누적 주문건수 2억건 돌파 등 IT 기반의 서비스를 강화해 왔으며, 한국인의 기호를 반영한 현지화된 음료와 푸드 개발 및 스페셜티 커피인 ‘리저브’의 고급화 전략 등을 통해 회사 성장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2021년 3월에는 스타벅스 코리아 22년간의 혁신과 노하우를 집약하고 친환경과 평등 채용 등 지속가능 경영의 초석 매장으로서 국민 닉네임을 매장명으로 사용한 ‘별다방’을 오픈했다.
BTS와 컬레버레이션을 통한 청년 자립 프로젝트 후원, 시니어 어르신들을 위한 교육장 개설, 수익 기부형 모델인 커뮤니티 스토어 오픈하며 지속성과 상생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공헌 활동을 전개하면서, 2025년까지 탄소감축 30%, 채용확대 30% 목표로 하는 지속가능성 전략 ‘Better Together’를 발표해 제주도에 일회용컵 없는 매장 운영을 2021년부터 시작했다. 2019년 12월에는 한국문화 유산 보호 활동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Close

연사

김상욱

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연사

김상욱

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김상욱은 양자물리학 및 양자정보를 연구하는 물리학자이자, 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이다. 신문, 잡지 등에 칼럼을 연재하고, 대중과학책을 내고, 방송에 출연하는 등, 과학 커뮤니케이터로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김상욱의 과학공부 (2016), 김상욱의 양자공부 (2017), 떨림과 울림 (2018), 뉴턴의 아틀리에 (공저, 2020) 등이 있으며, tvN 알쓸신잡3 (2018), tvN 금금밤 : 신기한 과학나라 (2020), tvN 알쓸범잡 (2021), MBC 선을 넘는 녀석들 : 마스터-X (2021) 등에 출연했다.

Close

연사

이욱정

요리인류
대표

연사

이욱정

요리인류
대표

이욱정은 前 KBS, KBS미디어 PD이자 現 (주)요리인류 대표이사 & 서울시 요리를 통한 도시재생 사업의 총괄 프로듀서이다. 그는 연세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인류학 석사학위를, 노스웨스턴대학교 대학원에서 방송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KBS에서 다채로운 경험을 쌓은 그는 2010년 다큐멘터리 [누들로드]를 통해 방송계의 퓰리처상이라 불리는 피버디상을 수상했으며, 자신만의 푸드멘터리 영역을 개척하기 위해 요리학교 '르 꼬르동 블뢰'로 유학을 떠나 최고급 과정을 수료했다. 이후 [요리인류]로 제51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교양 작품상을 수상했으며 [요리인류 – 도시의맛], [UHD한식]과 같은 걸출한 작품들을 연출해오고 있다. 저서로는 [누들로드], [쿡쿡], [이욱정PD의 요리인류키친],[치킨인류] 등이 있다.

Close

지구세션

좌장

오동석

아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좌장

오동석

아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오동석은 한국의 헌법학자다. 현재 아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다. 학생과 군인의 인권, 사상의 자유와 집회의 자유 등 인권 문제에 관심을 가지다가 생태문제로 문제의식을 확장하여 최근에는 지구법학에 관심이 많다. 주요 논문으로, 감염병 방역과 인권 그리고 헌법(2021), 지구법학 관점에서 한국헌법의 해석론(2021), 지구법학과 헌법(2020) 등이 있다. 국회입법조사처 <입법과 정책> 편집위원이며, 국방부 대체역 심사위원, 경찰청 인권위원이다.

Close

연사

만제리 수빈 순데르 라지

변호사, 크라이스트 로스쿨 조교수

연사

만제리 수빈 순데르 라지

변호사, 크라이스트 로스쿨 조교수

가문의 5대째 변호사로 명성을 이어가고 있는 만제리 수빈 순데르 라지변호사는 인도 국립 법률대학 NUALS를 차석으로 졸업한 후 2007년부터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2011년에는 LLM을 수료하고, 2018년에는 NLSIU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바 있다. 자연권, 환경권 및 인권에 특히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인도내에서 환경보호 캠페인, 인권문제, 지역확장 및 무료 법률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협력 및 실행 업무와 관련된 다양한 이니셔티브 및 공익 소송을 이끌고 있다. 또한, UN 자연 네트워크와 조화(Expert Member Group of the Harmony with Nature Network) 내 160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그룹에 참여하고 있는 최초의 유일한 인도인 멤버이기도 하다. 2014 ~ 2015년까지 스웨덴 스톡홀롬 왕립공과대학교에서 리나우스-팔메 펠로우를 지내면서 수자원법에 대해 강의를 한 바 있다. 그의 박사 논문은 2017년 9월 오슬로대학 법대에서 개최한 제 1차 국제환경법에 관한 대학원생 토론회를 위해 선정된 전 세계 15개 논문 중 하나로 발표되기도 했다. 박사논문으로는 2019년 톰슨 로터스에 실린 지구 정의: 신법학 수립을 발표했으며, 국내외 저명한 저널에 40여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해왔다. 라지 박사는 ‘환경권’에 더욱 집중함으로써 인간의 태도에 현저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하기 위해 매진하고 있다. 또한, 환경관리를 촉진하는 가치기반 근거를 바탕으로, 인간에 합의된 의무를 부과함으로써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이와 더불어, 본질적 가치실현이 중요하며, 특히, 지구 정의 원칙을 사람들에게 고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에 확고한 믿음을 지니고 있다.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화 및 전통적 관행을 법제화하는 것에 관한 연구에 깊은 관심을 두고 있다.

Close

연사

최글로리아

㈜아마란스
부사장

연사

최글로리아

㈜아마란스
부사장

최글로리아는 한국의 화장품 및 바이오 헬스 관련 제품 제조사를 경영하고 있다. 현재 ㈜아마란스에서 미래전략사업부 총괄담당(부사장)자로 재직중에 있다. 정치학과 국제협력과 학,석사를 하며 지구 환경 및 그에 관련하여 정책에 관심을 두기도 하여 UN산하 한국 NGO인 KVO에서 인턴생활을 하기 하며 국내 사 기업의 국제 환경개선을 위한 아프리카 케냐 지역 우물파기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국내,외 사 기업들의 국제 환경에 대한 노력 및 계획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Close

연사

조경애

법무법인(유)
원 변호사

연사

조경애

법무법인(유)
원 변호사

조경애는 한국의 변호사이다. 현재 법무법인(유한) 원의 소속변호사로서 서울고등법원 재판연구원을 거쳐 노동사건, 민사소송, 행정소송 사건을 대리하고 기업자문 등을 하고 있다.
세계아동인권 문제에 관심이 많아 케냐, 키르기즈스탄에 일시 방문하여 어린이들을 위해 교육봉사를 하기도 하였고, 환경문제와 동물복지에 관심이 많아 환경보호를 위해 일회용품 안쓰기 등을 실천하고, 사단법인 지구와 사람에 가입하여 지구법에 관한 공부를 하고 있다. 동물복지와 관련하여 동물법연구회에 가입하여 동물권에 관한 글을 썼고, 길고양이들에게 물과 밥을 주는 캣맘이기도 하다.

Close

환경세션

좌장

최재철

국제박람회기구(BIE)
의장

좌장

최재철

국제박람회기구(BIE)
의장

최재철 대사는 1981-2019년간 외교부에서 근무한 직업 외교관 출신으로 국제경제국장, 기후변화대사, 주모로코대사, 주오이시디차석대사, 주덴마크 대사를 역임하였다. 현재 프랑스 파리에 본부를 둔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의장으로 2020년부터 재직중이며 2013-19년간 집행위원장을 지냈다. 30여년간 국제환경문제와 개발협력분야에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인하대 지속가능경영대학원 초빙교수, 서울대 환경대학원 강사, 국립외교원 명예교수로 기후변화와 지구환경문제를 강의하고 있다. 기후변화대사로서 파리협정의 협상, 채택 및 비준과정에서의 경험, 주덴마크대사로서 “녹색성장과 2030글로벌목표달성을 위한 연대”(P4G)출범에 기여한 경험을 바탕으로 “환경외교의 길을 걸었던 외교관의 기후협상일지”를 출간하였다.

Close

연사

이봉주

한동대학교 교수
㈜그린사이언스 대표이사

연사

이봉주

한동대학교 교수
㈜그린사이언스 대표이사

이봉주 교수는 한양대학교 원자력공학과를 졸업하고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에서 플라즈마 물리학으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1~1997년 University of California – Los Angeles와 San Diego에서 연구조/부교수를 역임하였다. 1996~1997 Princeton University에서 안식년 기간 동안 자기장핵융합 장치인 KSTAR 설계에 참여 후 귀국하여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국가핵융합연구소에서 재직하였고, 2011년에 ㈜그린사이언스 창업 및 한동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어 현재까지 대표이사로 교수로 활동 중이다. 전 세계의 생태계 복원을 통하여 창조질서의 회복을 위한 연구, 개발, 교육 분야에 관심을 갖고 실천하고 있다.

Close

패널

세드릭 필리베르트

IFRI 에너지기후센터 부연구위원

패널

세드릭 필리베르트

IFRI 에너지기후센터 부연구위원

세드릭 필리베르트는 에너지 및 기후 전문가로써 IFRI(프랑스 국제관계연구소)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특히, 산업 및 교통분야 신재생 에너지, 전기화 및 수소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전에는 IEA(국제에너지기구)에서 기후변화정책 및 신재생에너지기술과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며 20년 동안 경력을 쌓은 바 있다. IEA에서 발간한 다수의 논문 및 저서의 저자로, 비욘드 교토(Beyond Kyoto (2002, with J. Pershing)), 태양열, 풍력, 및 수력발전에 관한 IEA 기술 로드맵(IEA Technology Roadmaps on solar, wind and hydro power), 태양열 에너지 관점(Solar Energy Perspectives (2011)), 산업용 신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 for Industry (2017)) 및 태양열 에너지: 미래 방향 설계(Solar Energy: Mapping the Road Ahead (2019) )등의 저술활동에 참여한 바 있다. 또한, 전문 교육을 받은 언론인으로, 프랑스 환경부 자문 및 프랑스 환경청 ADEME CEO를 역임했다. 그 이후, IEA에 합류하기 전까지 UNEP에서 일하기도 했다. 다양한 저널, 저서 및 보고서를 통해 다수의 글과 논문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Close

패널

댄 샤함 벤 하윤

JADDE 설립자, 전 IRENA 특별대사

패널

댄 샤함 벤 하윤

JADDE 설립자, 전 IRENA 특별대사

샤함 박사는 아시아, 미국, 유럽 및 아프리카, 그리고 최근에는 아부다비에서 IRENA 대사로 활동한 이스라엘 출신 외교관이다. 글로벌 도전과제와 관련하여, 예루살렘 AidTec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재난 구호 분야에서 혁신을 이끄는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Close

패널

최석재

한국에너지공단 CDM
인증센터장

패널

최석재

한국에너지공단 CDM
인증센터장

최석재는 한국에너지공단의 CDM센터장이다. 한국에너지공단에서 보일러 및 압력용기 검사와 신재생에너지 설비에 대한 인증 및 표준화 관련 업무를 수행한 그는 그간의 검사, 인증 등 제도 관리 및 현장 업무 경험을 바탕으로 교토의정서하의 CDM 사업에 대한 타당성확인과 검증을 담당하는 CDM 인증센터를 총괄하면서 개도국에서 이행하는 온실가스 감축사업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온실가스 감축량을 검증하고 있다.

Close

패널

유석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원장

패널

유석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원장

유석재 박사는 한국의 핵융합 및 플라즈마 분야 과학자로서 정부출연연구 기관인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의 초대 원장으로 재임하고 있다. 그는1987년에 서울대학교에서 원자핵공학 학사학위를, 이어서1989년에 ‘고출력 탄산가스레이저에 의한 유황동위원소 분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리고 1997년에 독일 KIT대에서 플라즈마 분야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9년에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의 전신인 국가핵융합연구소에 연구원으로 입사해서 응용기술개발부장, 플라즈마기술연구센터장, 선임단장(부소장), 소장을 역임했다. 또한,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핵융합 및 플라즈마 겸임교수와 군산대학교 플라즈마융합공학대학원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그는 ITER국제기구 이사회, 한국진공학회와 한국기후변화연구원에서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Close

패널

김상현

한국기후변화연구원
원장

패널

김상현

(재)한국기후변화연구원
원장

김상현 원장은 춘천고등학교와 강원대 환경학과 학사를 졸업 및 석사를 취득하였다.2016년에는 강원도 환경과장, 2016년에서 2018년까지 강원도 에너지과장으로 재직하였고, 이후 환경부 협력관으로 활동하였다. 2019년부터 현재까지 한국기후변화연구원장으로 재임중이다.

Close

강원세션

기조연설

최승준

정선군수

기조연설

최승준

정선군수

최승준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현재 강원도 정선군수이다. 제40대 정선군수, 제4대 정선군의회 의원, 제5대 정선군의회 의장, 정선신용협조합이사장, 정선군 체육회장, 정선청년회의소 회장 등을 역임했다. 환경과 사람 중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그린뉴딜”에 맞춰 군정을 전환하여 정책발굴에 노력하고 있으며 정선을 청정한 자연환경과 함께 휴양하고 힐링할 수 있는 치유의 고장으로 만들기 위한 기반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Close

좌장/연사

박양우

전 문화체육부
장관

좌장/연사

박양우

전 문화체육부
장관

박양우 박사는 대한민국 서울 소재 중앙대힉교 예술대학원 예술경영학과 교수이다. 중앙대학교 부총장도 역임하였다. 그는 대한민국 정부에서 25년 이상을 일했으며 문화체육관광부 차관과 장관을 지냈다. 국제적으로 저명한 광주비엔날레 대표를 역임하였고, 한국영상산업협회장과 한국영화배급협회장을 지냈다. 학계에서는 한국예술경영학회장과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장을 지냈다.

Close

패널

전유성

전유성의 코미디시장 대표

패널

전유성

전유성의 코미디시장 대표

연극연출을 전공한 그는 1969년 TBC방송국 예능 ‘쑈쑈쑈’ 방송작가로 데뷔하였다.
이후 직접 자신이 대본을 쓴 코미디 프로에 출연하며 ‘개그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1호 개그맨이 되었으며 개그맨이라는 직업은 이제 쉽게 접할 수 있는 흔한 직업 명칭이 되었다. 우리나라 최초로 심야극장, 심야볼링장 등을 시도하여 대중화하였으며 시골마을에 코미디 전용 극장을 오픈해 흥행에 성공하는 등 아이디어뱅크로 널리 알려져 있다.

Close

패널

박정권

한국토지주택공사
지역균형재생처장

패널

박정권

한국토지주택공사
지역균형재생처장

박정권은 토목공학을 전공하였고, 토목시공분야의 전문가이다. 1991년 한국토지주택공사 입사 후 국토개발 인허가 및 토목시공, 기술심사, 스마트국가시범도시건설사업 등을 총괄하였고, 현재는 경기지역본부에서 지역균형개발과 도시재생분야의 일을 하고 있다. 또한 건설관리분야에서 박사과정을 진행중이다. 또한 대한토목학회, 한국건설관리학회, 한국지반공학회의 종신회원으로도 활약하고 있다.

Close

기업세션

오프닝/기조연설

유정준

SK E&S
대표이사 부회장

오프닝/기조연설

유정준

SK E&S
대표이사 부회장

유정준 부회장은 현재 SK E&S의 대표이사 부회장이다.
그는 2008년 SK에너지 R&C 사장, 2009년 SK루브리컨츠 대표이사, 2011년 SK G&G 추진단 단장 사장을 역임했다.
2013년 SK E&S 대표이사로 선임된 그는 SK그룹의 LNG 사업을 주도해 왔으며, SK E&S가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LNG 밸류체인을 완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수소, 재생에너지, 에너지솔루션 분야로 사업을 확장함으로써 기후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오고 있다.
2014~2015년 민간발전협회 회장, 2016~2017년 한국집단에너지협회 회장, 2017년 신재생에너지협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2021년에는 에너지얼라이언스 초대 의장으로 추대되어, 한국 에너지 사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Close

발제/진행

김성우

김·장법률사무소
환경에너지연구소장

발제/진행

김성우

김·장법률사무소
환경에너지연구소장

한국인 최초로 세계은행 미래사회 외부자문위원, 국제배출권거래협회 이사에 선임됐으며 글로벌 컨설팅회사인 KPMG의 지속가능성부문 아시아태평양 대표를 역임하는 등 환경에너지 및 사회책임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글로벌 전문가이다. 고려대와 미국 루이빌대학에서 지구과학 및 수학을 전공하고, 듀크대학에서 환경공학 석사를, aSSIST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포스코 환경에너지실, 신사업개발실, 투자사업실 등을 거치며 기업의 실제환경에너지 경영, 기후변화 관련 신사업개발 및 신규투자를 담당했으며 KPMG에서는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를 포함한 12개국의 기후변화 및 지속가능성팀을 이끌며 기업자문을 총괄했다. 녹색기후기금 송도 유치와 에너지신산업 발굴 공로로 산업포장 및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 서울대 겸임교수를 역임하고, 대통령직속 탄소중립위원이자 ㈜이도 사외이사다. 현재는 김앤장 환경에너지 연구소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Close

연사

이형희

SK SUPEX추구협의회
SV위원회 위원장

연사

이형희

SK SUPEX추구협의회
SV위원회 위원장

이형희 사장은 SK그룹 SUPEX추구협의회 산하 SV위원회의 위원장이다. 현재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을 겸임 중에 있다. 이형희 사장은 2014년 SK텔레콤 MNO 총괄, 2015년 SK텔레콤 사업총괄을 거쳐, 2017년에는 SK브로드밴드 대표이사 사장을 지냈다. 2019년부터 SK SUPEX추구협의회 SV위원장으로서 SK 그룹의 사회적 가치 창출과 ESG 경영을 주도하고 있다. 이형희 사장은 현재 사회적 가치 측정의 글로벌 표준 개발 및 ESG 성과의 화폐화 측정을 이끌고 있으며, 지난해 말 국내 기업 최초로 SK 멤버사들의 RE100 가입, 올해 6월 SK그룹의 Net Zero 선언 등을 주도하며 SK 그룹의 경영활동 전반에 걸쳐 ESG를 추구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 추진하고 있다.

Close

연사

이시우

포스코 안전환경본부장, 부사장

연사

이시우

포스코 안전환경본부장, 부사장

이시우는 현재 포스코 부사장으로 안전환경본부장을 맡고 있다. 1985년 한양대학교 금속학과 졸업 후 포스코에 입사한 이후, 포항제철소 냉연부 공장장(2000), 광양제철소 냉연부장(2007), 인도 냉연생산 법인인 POSCO-Maharashtra 법인장 (2015), 광양 압연담당부소장 (2016), 철강생산전략실장 (2018), 및 광양제철소장 (2019)을 거쳐 생산기술본부장 (2021.1)을 역임한 현장 전문가이다.

Close

연사

박성현

신한금융지주 그룹
전략/지속가능경영부문 부사장

연사

박성현

신한금융지주 그룹
전략/지속가능경영부문 부사장

박성현 부사장은 30년간 신한금융그룹에 몸담으며, 전략팀, 미래경영팀, 전략기획팀을 거친 정통 금융인이자 전략통이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와 동 대학 경영대학원을 나와, 미국 노스웨스턴대 로스쿨에서 법학 석사를 마쳤다.
현재는 신한금융그룹 총괄 전략과 지속가능경영 최고책임자(CSSO)를 맡으면서, 은행, 카드, 보험, 자산운용 등 자회사들의 ESG를 경영전략에 통합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박성현 부사장이 ESG를 담당하면서, 신한금융그룹은 국내 최초로 TCFD(기후변화관련재무정보공개) 가입하고 TCFD보고서를 공시하였으며, 금융의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UNEP FI(UN환경프로그램 금융이니셔티브)의 책임은행원칙(PRB)을 제정하는 창립 멤버로 활약하였다.
2020년 11월에 신한금융그룹이 동아시아 최초로 금융자산 탄소중립 전략인 ‘Zero Carbon Drive’선언을 주도하였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UNEP FI 글로벌운영위원회의 아시아-태평양 뱅킹 부문 대표로 선정되어 활동하고 있다.

Clos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