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1 8.20(목)
기조연사
안병옥
국가기후환경회의 운영위원장, 호서대학교 AI 융합학부 교수
기조연사
안병옥
국가기후환경회의 운영위원장, 호서대학교 AI 융합학부 교수
안병옥 위원장은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1998~2002 독일 뒤스부르크-에센대학 응용생태학부 박사과정을 마쳤다. 2019년부터 현재까지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하여 국가기후환경회의 운영위원장 및 호서대학교 AI 융합학부 교수 겸 국회기후변화포럼 부설 기후변화 정책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으며, 2017~2018 환경부 차관을 역임했다. 대표 저서로는 ‘생각수업’, ‘백낙청이 대전환의 길을 묻다’. ‘어느 지구주의자의 시선’, ‘우리는 지구를 지키는 사람입니다’, ‘기후의 문화사’ 등이 있다.
기조연사
김상협
(사)우리들의미래 이사장,
KAIST 글로벌전략 연구소
지속발전 센터장,
녹색성장대학원 초빙교수
기조연사
김상협
(사)우리들의미래 이사장, KAIST 글로벌전략 연구소 지속발전 센터장, 녹색성장대학원 초빙교수
김상협 이사장은 사단법인 우리들의미래 설립자이며, KAIST 글로벌전략연구소 지속발전센터 센터장과 녹색성장대학원 초빙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청와대 미래비전비서관과 차관급인 녹생성장기획관을 지내면서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과 국가전략수립에 이바지하여 한국의 녹색성장 분야의 발전과 인식개선에 큰 역할을 했다. 외에도 다보스 경제포럼(WEF)의 Global Agenda Council 위원(2008) 및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이사(2010) 활동 등을 통하여 국제사회에서도 다양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신문협회 대상(2003), 한국방송협회 올해의 방송인상(2007), 홍조근정훈장(2010), 한국언론인협회의 자랑스러운 한국인대상(녹색성장부분, 2012), 황조근정훈장(2012) 등을 수상하였다.
Interviewer
이지애
아나운서
Interviewer
이지애
아나운서
2006년 32기 공채 아나운서로 KBS에 입사해 KBS1 <6시 내고향>, KBS2 <생생 정보통>,
강연자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학교 정치철학과
교수
강연자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학교 정치철학과
교수
마이클 샌델은 미국의 정치철학자이다. 그는 온라인 수강이 가능한 하버드 교육 강의 'Justice'로 익히 알려진 바 있으며, 존 롤스(John Rawls)의 정의론(A Theory of Justice)’을 비판한 ‘자유주의와 정의의 한계(Liberalism and the Limits of Justice)’(1982년)를 발표하면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오늘날 대표적인 공동체주의자, 공화주의자이며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가로 유명하다. 현재 그의 저서를 통해 공동체주의적 공화주의 라는 새로운 정치 이론을 표방하고 있다. 그는 현재 미국 예술 및 과학 아카데미(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의 특별 연구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미국 하버드 대학 교수로 재임 중이다. 특히 2009년작인 《정의란 무엇인가》가 2010년 대한민국에 번역되어 인문학 서적으로는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하여 화제가 되었다. 그 외 《자유주의와 정의의 한계》, 《생명의 윤리를 말하다》,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등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출판하였다.
Closing
최강식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Closing
최강식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연세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예일대학교에서 기술변화와 인적자본에 관한 연구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경제학회 이사 및 대표 학술지인 『경제학연구』의 편집위원장을 지냈으며, 대통령이 위원장인 국민경제자문위원회 위원, 규제개혁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연세대학교에서 학부대학 학장으로 재임하면서 국내 최초로 송도 국제캠퍼스에서 1학년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RC 교육 프로그램을 총괄하였다 전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주요 관심사는 교육투자, 기술진보, 차별의 문제 등이며 최근에는 교양 교육의 연구에도 치중하고 있다.
좌장
강금실
강원문화재단
이사장
좌장
강금실
강원문화재단
이사장
강금실 이사장은 서울고등법원판사를 거쳐 제 55대 법무부장관을 역임하고, 현재 법무법인원 대표변호사, 강원문화재단 이사장, 지구와사람 대표를 맡고있다. 대표 저서로는 생명의 정치 등이 있다.
연사
앤드루 새먼
아시아 타임스
한국특파원
연사
앤드루 새먼
아시아 타임스
한국특파원
앤드루 새몬은 영국인으로 1998년부터 대한민국 서울에 거주하고 있으며 홍콩에 본사를 둔 미디어 기업 아시아 타임즈의 동북 아시아 특파원으로 일하고 있다. 최근에는CNN, 포브스, 프랑스 24,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 뉴 리퍼블릭,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타임즈 및 워싱턴 타임즈에 기사를 쓰고 있다. 또한, ‘현대 한국: 중요한 것(Modern Korea: All That Matters, 런던/뉴욕 2014)’을 비롯해 ‘마지막 전투까지 한국 전쟁 역사(Korean War histories To the Last Round, 런던, 2009)’ ‘불타는 지구, 검은 눈(Scorched Earth, Black Snow, 런던, 2011)’등 5권의 책을 쓰기도 했다. 2010년에는 전쟁 문학에 대한 기여로 국회가 수여하는 “한류”상을 수상했다. 2016년에는, 한국 전쟁에서 영국의 역할에 대한 글로 엘리자베스 여왕 2세가 수여하는 대영 제국 훈장을 받기도 했다. 건지섬의 엘리자베스 대학에서 수학했으며, 켄트 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런던 대학 동양 및 아프리카학부(SOAS)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또한, 왕립 아세아학회 한국 지부 위원으로 일하고 있으며, 역사, 무술 및 맥주에 조예가 깊다.
연사
브랜든 하우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교수
연사
브랜든 하우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교수
Brendan Howe 교수는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소속 교수로 인간안보 분야의 권위자이다. 영국 출신 학자로써 Oxford 대학교에서 근대사 학사와 석사를, Kent 대학교에서 국제분쟁분석학 석사를, 그리고 Trinity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1년 국제대학원에 합류했으며 국제안보와 국제관계학 수업을 담당하고 있다. 국제대학원에 합류하기 전에는 베이징 외국어대학과 말레이시아 사라왁 대학교에서 방문학자와 강사로 활동했다. 안식년에는 한국 국방대학교와 시드니대학교 (2007-208) 그리고 베를린 자유대학교(2014-2015)에서 연구활동을 펼쳤으며, 인간안보, 분쟁 후 개발, 인도적 간섭 분야 등에서 총 70여편이 넘는 서적과 논문을 출판했다. 대표적인 서적으로 『Post-Conflict Development in East Asia』(Ashgate 출판, 2014),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Security in East Asia』(Palgrave 출판, 2013), 『The Legality and Legitimacy of the Use of Force in Northeast Asia』(Brill 출판, 2013)가 있다. 국제대학원 국제학과장과 국제개발협력연구원 부원장을 역임한 바 있으며, 현재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편집장, 한국 국제정치학회 (KISA) 회장, 아시아 국제정치학회 (APISA) 이사, 외교부 명예사절단 등을 맡고 있다.
연사
임형준
유엔세계식량계획(WFP)
한국사무소 소장
연사
임형준
유엔세계식량계획(WFP)
한국사무소 소장
임형준은 2019년 9월 현재 유엔세계식량계획 한국 사무소 소장을 맡고 있으며, 2002년 1월 WFP에서 JPO(Junior Professional Officer)로 시작하여 온두라스, 기니 비사우, 라오인민민주공화국에서 개발 프로젝트와 함께 비상 운영을 관리했다. 현장 임무를 마친 후, 고향인 한국으로 임명 받을 때까지 이탈리아 로마에 위치한 WFP 본부에서 아시아 지역을 담당하여 기부 관계 담당관으로 일했다. 20대에, 3년 반 동안 전 세계 80 개국 이상을 다니며 배낭 여행을 한 경험이 있다. 또한 다수의 책 출판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1999년 에는 본인의 여행 에세이 집 “나는 지구를 삼켰다”를 출간하고, 2008년에는 “글로벌 영 코리안(Global Young Korean)”에 실리기도 했다. 또한, KBS 60분 분량 다큐멘터리에 출연한 경험이 있으며, 2012년 5월에는 어린이 도서인 “함께 웃자(Let’s smile together)”를 출간하여 전 세계 기아에 대해 다루며 그의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WFP의 활동들을 소개했다. 1997년부터 1998년까지 한국 주요 일간지 중 하나인 한겨레에 주간 컬럼을 썼으며, 2000년대 중반 한울안 신문에 월간 컬럼을 기고했다. 정부 부처, 대학, 연구기관을 포함한 다수의 기관 등에 초대되어 강의를 하기도 한다. H.U.F.S에서 언어 및 외교 학사 및 정치학 석사를 받았으며, 그 후 하버드 대학 케네디 공공정책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를 받았다.
연사
마르코 마르투치
세계보건기구(WHO)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센터장
연사
마르코 마르투치
세계보건기구(WHO)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센터장
마르코 마르투치는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 지역 사무소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 센터장직을 맡고 있다. 마르투치 센터장은 이탈리아 보건 연구소, 런던 위생 열대의학 대학원, 임페리얼 의학대학원(영국), WHO 국제 암 연구 기관(프랑스), 독일 본에 위치한 WHO 유럽 환경 및 보건 센터에서 경력을 쌓아왔다. 또한, 1996년 런던 대학에서 지역사회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마르투치 센터장은 기후 및 생태계 파괴와 같은 인류세(Anthropocene)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관점을 바탕으로 기후변화 및 환경 위기 요인이 보건 및 보건 평등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업무를 맡고 있다.
연사
틸먼 러프
핵전쟁방지국제의사회
(IPPNW) 대표
연사
틸먼 러프
핵전쟁방지국제의사회
(IPPNW) 대표
틸먼 러프는 현재 1985년 노벨 평화상 수상단체인 핵전쟁방지국제의사회(IPPNW, International Physicians for the Prevention of Nuclear War) 공동 대표로, 핵무기 폐지 국제운동의 국제 및 호주 의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2017년 에는 “핵무기 모든 사용의 인류에 대한 치명적 영향과 조약에 기반한 핵무기 금지 달성의 획기적인 노력에 대한 관심 유발 업무에 대해”라는 연구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멜버른 대학 노살 국제보건 연구소(Nossal Institute for Global Health at the University of Melbourne) 부교수를 역임한 러프 박사는 페어필드 및 로얄 멜버른 병원(Fairfield and Royal Melbourne Hospitals )에서 여행의학 과장으로 일했으며, 인도네시아 및 호주/뉴질랜드 구호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태평양 섬 국가, 버넷 연구소(Burnet Institute), 유니세프 및 WHO에서 B형 간염관리, 예방접종 및 모자보건 분야를 다뤘다. 또한, 1998년부터 2003년까지 호주/뉴질랜드/오세아니아의 백신 부문 의학 과장직을 수행했으며, WHO 서부 태평양 지역 B형 간염 예방접종 전문가 패널의 창립 멤버로 활동하고, 1996년부터 2019년까지 호주 적십자 국제 의료 고문으로 일했다. 러프 박사는 시가테라 식중독(ciguatera fish poisoning) 발병과 태평양 핵실험 간 관계를 최초로 규명하는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러프 박사는 전쟁방지의료연합(Medical Association for Prevention of War, 호주)회장을 역임했으며, 핵확산 금지 및 핵 군축에 대한 국제 위원회 2명의 시민사회 자문위원 중 한 명으로 활동하며 2017년 7월 7일 도입된 역사적인 유엔 핵무기 금지 조약(United Nations Treaty on the Prohibition of Nuclear Weapons)의 협상 기간 동안 뉴욕 IPPNW 대표단을 이끌기도 했다.
연사
유연철
외교부기후변화대사
연사
유연철
외교부기후변화대사
유연철 대사는 외교부에 30년 이상 재직하면서 주제네바 차석대사 및 주쿠웨이트대사를 역임하였으며 2018년 6월 기후변화대사에 임명되었습니다. 유연철 대사는 1991년 처음으로 기후변화협상에 참여한 이래 외교부 환경협력과장(2003), 에너지기후변화과장(2009) 및 환경부 국제협력관(2011)으로서 지속적으로 기후환경외교 분야에서 활동해 왔습니다. 2009-2011년간 녹색성장위원회 국제협력팀장으로 파견근무 당시 유연철 대사는 글로벌 녹색성장연구소(GGGI) 설립에 총괄기획자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고, 이후 2012년 6월 GGGI가 국제기구로 발전하는 데에도 기여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유연철 대사는 2012년 녹색기후기금(GCF)의 한국 유치 과정에도 참여하였습니다. 기후변화대사 임명 이후인 2019년에는 유엔기후변화협약 이행부속기구(SBI) 부의장으로 선출되는 등 기후환경 외교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또한 현재 2021년 한국에서 개최될 P4G(Partnering for Green Growth & Global Goals 2030) 정상회의 기획단 단장을 맡고 있습니다.
Day 2 8.21(금)
연사
서경덕
성신여자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연사
서경덕
성신여자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서경덕 교수는 전 세계에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널리 알리는 홍보 전문가이다. 현재는 성신여자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며, 대통령 직속 국가브랜드위원회 위원, 서울시 브랜드추진위원회 위원, 문화체육관광부 세종학당재단 이사, 독립기념관 독도학교 초대교장 등 역임했고,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홍보대사 등으로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연사
이국종
아주대학교 외상연구소
소장
연사
이국종
아주대학교 외상연구소
소장
이국종 소장은 아주대학교 의과 대학에 석사 박사과정을 마치고 미국 주 라호야 머시 병원의 미세수술연구소 2003년 UC 샌디에고 의료 센터의 트라우마 센터로부터 특별 교육을 받았다. 2002~2019년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재직 및 2007~2008년동안 Royal London Hospital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으며, 2020년부터 외상연구소장으로 재임용되었다. 이국종 소장은 보건복지부 국가응급의료시스템 2020년 수상, 2011년 남한 외상 치료 시스템에 대항 공로로 수많은 상을 수상하였으며, 2009~2010년 미국 백악관으로부터 한국에 주둔한 미군과 많은 미국 시민들에 대한 뛰어난 지원으로 감사장을 받았다.
연사
김종우
MBC 문화방송 시사교양본부
프로듀서
연사
김종우
MBC 문화방송 시사교양본부
프로듀서
김종우(Kim Jongwoo)는 논픽션 프로그램과 다큐멘터리를 제작해 왔습니다. 2020년 2월 VR을 활용해 세상을 떠난 딸을 가상현실 속에서 만나보는 엄마의 이야기 ‘너를 만났다’를 제작하여 새로운 기술이 인간의 감정과 어떻게 결합될 수 있는지 보여주었습니다. 보통 사람들의 삶의 조건에 관한 이야기를 어떻게 새롭게 전달할지에 관심이 많습니다.
좌장
강정혜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좌장
강정혜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2005년부터 서울시립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국민권익위원회 비상임위원,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비상임위원, ㈜여성신문사 사외이사, 법무법인 광장의 환경담당 파트너 변호사를 역임하였습니다. 상법, 국제거래법, 환경법 관련 논문을 다수 저술하였으며 특히 기업활동이나 공동체(community), 시민공익활동를 위한 법적 조직 형태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용산공원을 포함하여 생태공원 조성을 위한 몇 개의 시민 모임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연사
재레드 다이아몬드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UCLA) 의과대학
교수
연사
재레드 다이아몬드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UCLA) 의과대학
교수
재러드 다이아몬드는 미국의 과학자이자 논픽션 작가이다. 현재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의 의과대학 생리학/지리학 교수로 재직중에 있다. 생리학으로 과학 인생을 시작한 그는 조류학, 진화생물학, 생물지리학으로 자신의 영역을 점점 확장해 나갔으며 라틴어, 그리스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등 수개국어를 구사한다.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한 공로로 수여되는 영국의 과학출판상과 미국의 LA 타임즈 출판상을 수상했다. 또한 그는 미국예술과학아카데미, 미국과학아카데미, 미국철학협회 회원으로 선정 되었으며, 특히 1998년에는 저서 《총, 균, 쇠》로 퓰리처 상을 받았다.
연사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에콜로지 및 문화를 위한
국제 협회(ISEC) 대표
연사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에콜로지 및 문화를 위한
국제 협회(ISEC) 대표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는 스웨덴 출신의 언어학자이자 에코페미니스트이며 에콜로지 및 문화를 위한 국제 협회(ISEC)의 발기인이자 대표이다. 본래 스웨덴과 영국의 런던 대학교에서 언어학을 수학하던 학생이었던 헬레나 노르베리-호지는, 1970년대 중반, 자신의 학위 논문을 위해 인도 북부에 위치한 라다크를 방문했다. 그는 논문을 위해 꾸준히 라다크와 외부를 드나드는 과정에서, 라다크의 문화와 철학에 매료되었다. 그러나 서구 문명의 유입 과정에서 라다크의 전통 문화와 가치관이 붕괴되는 것을 목격하고, 현대 산업사회를 비판하는 강연 활동을 펼치게 된다. 그녀는 《오래된 미래: 라다크로부터 배우다(Ancient Futures: Learning from Ladakh)》라는 저서로 유명하며 이 책은 30개국 언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고 있다. 그는 1986년 대안적 노벨상이라 불리는 바른 생활상(Right Livelihood Award)를 받았으며 현재 에콜로지 및 문화를 위한 국제협회의 대표로서 생태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그는 또한 60명의 사회 활동가, 경제학자, 연구원, 작가들이 경제적 세계화에 관한 활동과 연구를 개최하는 세계화에 관한 국제 포럼(IFG)의 공동 발기인 중 한 명이기도 하다.
연사
미하엘 라이터러
주한 유럽연합(EU)
대사
연사
미하엘 라이터러
주한 유럽연합(EU)
대사
미하엘 라이터러는 2017년 주한 유럽연합(EU)대사로 부임했다. 주한 유럽연합 대사로 부임하기 전에는 브뤼셀 유럽 대외관계청(European External Action Service, EEAS)에서 전략 및 안보문제를 담당하는 아태지역부 선임자문관으로 재직했다. 또한, 주스위스 및 주리히텐슈타인 공국 EU대사(2007-2011)를 역임했고, 주일본(2002-2006) EU대표부 공사 참사관(2002-2006)을 지냈으며, ASEM 참사관(1998-2002)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또한, 1998년 오스트리아의 EU 가입 이전, 미하엘 라이터러는 EU/브뤼셀 오스트리아 상임 대표부 참사관, GATT 오스트리아 상임 대표단 참사관, 무역 및 환경에 관한 OECD 전문가회의 공동의장, WTO-패널리스트, 오스트리아 연방 경제회의 내 유럽 통합 및 무역 정책을 위한 사무차장 뿐 아니라 주서아프리카 및 주일본 오스트리아 무역부 사무관으로 일했다. 미하엘 라이터러는 인스부르크 대학에서 법학 박사학위(Dr. juris)를 마치고, 존스홉킨스대학교 볼로냐 센터에서 국제관계학 학위, 제네바 국제연구대학원에서 국제관계학 학위를 받았다. 2005년에는 인스부르크대학교 국제정치 겸임교수로 임명되었다. 또한, 여러 대학교에서 EU 외교정책, EU-아시아 관계 및 지역간주의(interregionalism)에 관한 강의를 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다양한 책의 저자이기도 하다.
패널
박태현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패널
박태현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박태현은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환경법)로, 환경시민단체에서 환경전문변호사로 활동하였습니다. 현재 포럼 지구와사람 산하 지구법센터에서 인간중심주의적인 환경법을 넘어 지구중심주의적 관점에서 법체계를 바라보고자 하는 지구법과 자연의 권리를 연구하며, 동료들과 함께 지구법 강좌 운영 등 교육 활동도 하고 있습니다. 한편. 커먼즈의 보전 및 창출, 유지에도 관심이 많아 자본주의적 방식으로 공동체의 유지에 기여할 수 있는 한 방법인 커먼즈에 기반한 시민배당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패널
정혜진
지구법센터장
패널
정혜진
지구법센터장
정혜진은 영남일보에서 기자로 15년을 일했고, 마지막 5년을 환경담당 기자로 활동하였습니다. 환경법을 특성화한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밥학을 공부한 후 재판연구원을 거쳐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 후 2013년, 지구와사람 포럼 창립멤버로 들어와 지구법학회 총무를 거쳐 지구법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습니다. 연 4회 ‘지구법강좌’ 시리즈 등을 통해 지구법학을 알리는데 힘쓰고 있습니다.
연사(Track A)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이만열)
미래도시환경연구원
사무총장
연사(Track A)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이만열)
미래도시환경연구원
사무총장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한국명: 이만열)는 아시아 인스티튜트(asia-institute.org)소장이며, 아시아 인스티튜트는 기후변화, 기술변화가 인류에 미치는 영향, 급격하게 변화하는 국제관계 특성 및 반 지적 문화 확산과 같은 현 시대 가장 큰 도전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아시아 및 전 세계의 개인 간 교량 역할을 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씽크탱크이다. 아시아 인스티튜트는 워싱턴, 서울(대한민국), 하노이(베트남), 및 도쿄(일본)에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그는 재팬 포커스(Japan Focus), 포린 폴리시 인 포커스(Foreign Policy in Focus) & 하버드 저널 아시아틱 스터디(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및 글로벌 아시아(Global Asia)와 같은 저널에 환경, 기술, 세계화, 국제관계, 아시아 비즈니스를 다루는 기사를 기고했다. 이와 더불어, 코리아 타임즈, 포린 폴리시 인 포커스(Foreign Policy in Focus) 및 본인의 블로그 서클스앤드스퀘어스.아시아(circlesandsquares.aia)에서 동 아시아 정치, 문화, 및 국제관계에 대한 글을 쓴 경험이 있다.
연사(Track B)
모종린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연사(Track B)
모종린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모종린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는 코넬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스탠퍼드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텍사스 오스틴대학교 조교수, 스탠퍼드대학교 후버연구소 연구위원,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장, 국제처장, 국제학대학원장 등을 역임했다. 전 세계의 매력적인 도시들을 보면서 한국의 골목길 문화를 발전시키는 방안을 고민했다. 현재 정치경제학을 강의하면서도 국내외 여러 도시의 매력적인 골목길을 탐방하는 것이 취미인 모종린 교수는 ‘골목길 경제학자’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골목상권의 경제적 가치를 분석한 신간 ‘골목길 자본론’을 출판했다.
연사
송길영
다음소프트 부사장
연사
송길영
다음소프트 부사장
사람의 마음을 캐는 사람(Mind Miner), ㈜다음소프트 부사장으로, 수많은 사람들의 일상적 기록이 담겨 있는 소셜 빅 데이터에서 인간의 마음을 읽고 해석하는 일을 수년째 해오고 있다. 나아가 여기에서 얻은 다양한 이해를 여러 영역에 전달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다음소프트는 소비자의 온라인 의견을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정보로 전환하는 데 특화된 기업으로 텍스트 마이닝, 대규모 정보탐색과 자연어 처리 등 수백억 개의 소셜 미디어 글들이 담고 있는 소비자의 의견을 자동으로 분석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국BI데이터마이닝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과의 겸임교수이며 서울대학교, KAIST,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최고위 과정과 MBA 코스에서 10여 년째 강의를 해오고 있다. 이 밖에 삼성그룹 사장단 강연을 비롯해 LG그룹, POSCO그룹, GS그룹, 한화그룹, 동부그룹, 한라그룹, 세아그룹, 대림그룹, 미래에셋 그룹, 아모레퍼시픽 그룹 등 국내 주요 그룹사 사장단에 소셜 빅 데이터 관련 강연을 했고, 대만 홍하이그룹(Foxconn) 회장단 강연을 한 바 있다. 또한 오피니언 마이닝 워킹그룹(Opinion Mining Working Group)을 개설하여 기업에서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이끌고 있다. 활자를 끊임없이 읽는 잡식성 독자이며, 이종의 사람들을 만나서 대화하는 것을 즐긴다. 지은 책으로 《상상하지말라》, 《여기에 당신의 욕망이 보인다》가 있다.
좌장
강태선
㈜비와이엔블랙야크
회장
좌장
강태선
㈜비와이엔블랙야크
회장
강태선 회장은 동진레저ㆍ블랙야크 회장, 한국스카우트연맹 총재, 대한산악연맹 부회장, 서울특별시산악연맹 회장, 서울특별시체육회 부회장 등을 맡고 있다. 창립 47주년을 맞은 블랙야크는 현재 3대륙 28개 나라에 진출한 글로벌 브랜드이며, 2014년 미국 포틀랜드에서 친환경 소재로 스타일과 기능성 모두를 만족하는 제품을 꿈꾸며 나이키와 파타고니아 제품 개발자들이 모여 설립한 브랜드 나우를 인수하여 사회·환경 문제를 직접 실천하는 기업이다. 독일 이스포 어워드에서 19개의 상을 받아 단일 브랜드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상을 받았으며, 황사 방지를 위한 '블랙야크 황사쉴드 쿠부치 사막 생태원 조성 프로젝트, 블랙야크 소셜 액티비티 플랫폼인 '블랙야크 알파인 클럽(BAC)' 산행과 함께 산의 쓰레기를 수거하는 '클린 마운틴 365’, 한국100대명산 프로젝트 등 대중과 소통하는 사회적 책임경영으로 SDGs를 실천하는 기업의 롤모델이다. 주요 상훈으로는 2004 대한민국 체육훈장 백마장, 2007 서울특별시 문화상, 2012 국민훈장 모란장 2019 HDI인간경영대상 등이 있다.
연사
조운호
하이트진로음료(주)
대표이사 사장
연사
조운호
하이트진로음료(주)
대표이사 사장
조운호 사장은 현재 국내 최대 주류회사 하이트진로㈜ 계열사인 하이트진로음료㈜ 대표이사다. 은행원 출신으로 1990년도 기업체 웅진그룹으로 이직한 후 9년 만에 37세의 나이로 최연소 웅진식품㈜ 대표이사에 올랐다. 그룹 내 신규사업으로 음료사업을 진두지휘하였으며 현재까지 200억원대 이상 히트상품을 6개 이상을 개발 및 출시하였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아침햇살, 초록매실, 하늘보리, 블랙보리 등으로 모두 국산원료를 사용한 히트브랜드라는 점이다. 특히 쌀음료 아침햇살은 베트남 등에서 인기 품목으로 자리 잡았으며 세계 최초 검정보리로 만든 ‘블랙보리’는 국내최초로 미국 유기농 전문 채널인 ‘Trader joe’s에 입점 되어 한국음료의 세계화를 도모하고 있다. 2000년도에 MBC 성공시대에 출연하였으며 2002년에는 WEF(세계경제포럼)에서 선정하는 아시아 차세대 지도자 한국대표에 선정되기도 했다. 2005년에는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선정 ‘한국을 빛낸 CEO’ 외 다수 수상하였고 한국 농산물 가공산업 활성화 공로로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하기도 했다. 저서로는 경영 에세이 ‘아무도 하지 않는다면 내가 한다’가 있다.
연사
최규복
유한킴벌리
대표이사 사장
연사
최규복
유한킴벌리
대표이사 사장
최규복 대표는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졸업하고 1983년 유한킴벌리 마케팅부 입사하여 유아용품사업 및 신규사업 전무, 부사장을 담당하였고, Kimberly-Clark 북아시아 유아용품사업 본부장을 겸임하였다. 현재 유한킴벌리 대표이사 사장이며, 사단법인 미래포럼과 사단법인 생명의 숲에서 공동대표를 맡고 있고, UN Global Compact Korea Network, 사단법인 평화의 숲 이사 등 CSR CSY 활동으로 SDGs동을 가장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해온 기업이다. 2019 한국의 경영대상 사회가치 최우수 기업 (KMAC), 2012 대한민국 국민훈장 동백장 (인구의 날-가족친화경영), 2015 HDI인간경영대상 사회공헌부문대상 (HDI인간개발연구원) 등 상훈을 수상했으며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으로 유명하다.
연사
박석범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사무총장
연사
박석범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사무총장
박석범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GCNK) 사무총장은 GCNK의 제 3대 사무총장으로서 한국 기업들이 인권, 노동, 환경, 반부패 등 유엔글로벌콤팩트의 4대 분야, 10대 원칙 및 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를 기업 활동에 내재화하고, 나아가 지속 가능한 사회를 구현하도록 하는 GCNK의 모든 활동을 총괄하고 있다. 유엔글로벌콤팩트는 세계 최대의 자발적 기업 시민 이니셔티브로서, 2000년 발족 이후, 전세계 160여개국 14.000여개 회원들이 동참하고 있다. 박 사무총장은 GCNK 합류 전, 주 이라크대사, 주 방글라데시 대사, 주 휴스턴 총영사를 역임했으며, 극동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한 바 있다. 외무고시 제 13기로 주 OECD대표부 참사관, 주 EU대표부 공사, 외교통상부 국제경제국장, 한미FTA 협상 차석대표 등을 역임했다. 박 사무총장은 미국 휴스턴대학교 MBA, 프랑스 국제행정대학원에서 국제관계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연사
이호철
(주)포이엔
대표이사
연사
이호철
(주)포이엔
대표이사
경북 안동 출생의 이호철 대표는 서울대학교 생태조경학 석사를 2011년 졸업하고 커피찌꺼기를 활용 화석연료 대체재 개발과 온실가스 감축효과 정량화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환경가치를 창출하는 기업 ㈜포이엔을 창업했다. 포이앤은 ‘H-온드림 사회적기업 창업오디션’ 수상기업과 SK그룹이 지원하는 사회성과인센티브 지급 대상기업에 선정되면서 스타트업기업 중 기후변화대응 전문기업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2020년 4월 미얀마 고형연료 CDM 사업을 UN의 승인을 받은 이대표는 한국품질재단의 CDM 기술전문가 외부심사원을 맡고 있고, 2019년 5월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장상을 수상하였다.
연사
사이몬 스미스
주한 영국대사
연사
사이몬 스미스
주한 영국대사
사이몬 스미스는 주한 영국대사로 근무하고 있다. 대사직 수행 초기에는 도쿄 및 모스크바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더욱 최근에는 비엔나(주 UN 영국 상임 대표 포함) 및 키예프에서 영국 대사직을 수행하기도 했다. 스미스 주한 영국대사는 러시아, 사우스 코카서스 및 중앙 아시아 담당 과장을 포함하여 외무. 영연방부에서 여러 고위 직책을 역임했다.